알로하(Aloha)~ 오늘은 2023년 8월 마우이 라하이나 (Lahaina, West Maui)를 휩쓴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미국 산불 이후, 2025년 5월 현재의 상황을 전해 드리고자 합니다. 이 화재는 102명의 목숨을 앗아가고, 약 2,200개 구조물을 파괴하며 라하이나의 역사적인 마을을 잿더미로 만들었습니다. 1년 9개월이 지난 지금, 라하이나는 재건의 초기 단계에 있으며, 주민들은 주거 문제, 복구 지연, 그리고 문화 보존이라는 복합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화재 이후 라하이나의 현재 상황, 재건 노력, 주민들의 삶, 그리고 방문객이 알아야 할 점 등에 대해 담아 보았습니다.
1. 2023년 라하이나 산불
2023년 8월 8일, 허리케인 도라(Hurricane Dora)의 강풍과 건조한 날씨가 겹치며 라하이나 북동쪽에서 시작된 산불은 순식간에 마을을 집어삼켰습니다. 이 화재는 미국 역사상 5번째로 치명적인 산불로 기록되었으며, 102명 사망, 2,200개 이상 구조물 파괴, 약 55억 달러(약 7.5조 원)의 피해를 남겼습니다. 라하이나의 역사적인 프런트 스트리트(Front Street)와 반얀트리(Banyan Tree)는 큰 피해를 입었지만, 마리아 라나킬라 가톨릭 교회(Maria Lanakila Catholic Church)와 같은 일부 구조물은 기적적으로 살아남았습니다. 화재 원인은 하와이안 일렉트릭의 고장난 전력선에서 발생한 스파크로 확인되었으며, 소방관들이 초기 진압 후 불이 완전히 꺼졌다고 판단했으나 강풍으로 재점화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2. 2025년 5월 라하이나의 현재 상황
2025년 5월, 라하이나는 재건 초기 단계에 있습니다. 화재로 파괴된 지역은 여전히 복구 중이며, 마을은 데브리 제거 완료, 재건 허가 지연, 주거 위기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요약됩니다.
2.1. 데브리 제거 완료
2024년 말까지 미 육군 공병대와 환경보호국(EPA)은 라하이나의 1,390개 주거지와 159개 상업지에서 약 36만 톤의 화재 잔해물과 유독성 폐기물을 제거했습니다. 프런트 스트리트의 237개 비역사적 콘크리트 말뚝도 제거되어 복구의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EPA는 와히쿨리(Wahikuli) 지역에 새로운 하수 시스템 설계를 위한 환경 평가 초안을 발표하며, 2025년 5월 7일 라하이나 커뮤니티 회의에서 이를 논의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화재 잔해물에 포함된 석면과 납 같은 유해물질로 인해 주민들은 재입주 시 보호 장비 착용을 권고받고 있습니다.
2.2. 재건 허가와 느린 복구
재건은 허가 지연과 복잡한 규제로 인해 더디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5년 2월 기준, 단 6채의 주택만 재건되었으며, 대부분의 주민은 여전히 임시 주거지에서 생활 중입니다. 마우이 카운티는 2025년 5월까지 중소득 가구를 위한 지연 상환 대출 프로그램(Deferred Payment Loan Program)을 시작해 연방 재난 복구 자금 대상이 아닌 가구의 재건을 지원합니다. 그러나 허가 절차는 몇 달에서 1년 이상 걸리며, 주민들은 높은 건축 비용과 보험금 지급 지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라하이나의 역사적인 피오니어 인(Pioneer Inn)을 잃은 워렌 프릴랜드(Warren Freeland)는 복구의 복잡성에 좌절감을 표했습니다.
2.3. 주거 위기와 이주
화재로 12,000명이 집을 잃었으며, 2025년 5월 기준 많은 주민이 임시 주거지나 호텔에서 생활 중입니다. FEMA는 약 1,200가구에 임시 주택을 제공했으나, 2025년 3월부터 소득에 따라 임대료를 부과하며 주민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2023년 초부터 2024년 6월까지 마우이의 평균 임대료는 44% 상승했으며, 단기 임대(에어비앤비 등)에서 장기 주택으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법안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UHERO 보고서에 따르면, 화재 생존자의 약 25%는 여전히 안전하지 않은 주거지에 거주하거나, 20% 이상이 마우이 외 지역 또는 타주로 이주했습니다. 예를 들어, 라하이나 주민 릴리 응우옌(Lily Nguyen)은 여러 지역을 떠돌며, 샌포드 힐(Sanford Hill)은 주거 부족으로 카우아이로 이사했습니다.
3. 재건과 복구를 위한 노력
라하이나의 복구는 정부, 지역 단체, 주민들의 협력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주요 노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3.1. 정부와 NGO의 지원
- 마우이 카운티: MauiRecovers.org를 통해 복구 정보를 제공하며, 2025년 5월 1일 Genasys Protect 피난 앱을 출시해 비상 상황 대비를 강화했습니다.
- 주정부: 2024년 8월 40억 달러(약 5.5조 원) 합의금을 발표했으나, 지급은 2025년 말 이후로 예상됩니다. 하와이 주정부는 주 소방서장(State Fire Marshal) 직책을 신설하고 화재 감지 센서를 배치해 재난 예방을 강화했습니다.
- FEMA와 EPA: 와히쿨리 하수 시스템 재설계, 화재 피해 지역의 물과 하수 라인 점검을 지속하며 장기 복구를 지원합니다.
- 로터리 D5000: 이민자 커뮤니티를 위한 커뮤니티 케어 내비게이터 프로그램에 10만 달러를 지원했습니다.
3.2. 커뮤니티의 회복 노력
- 문화 보존: 마우이 아츠 리그(Maui Arts League)는 “Remembering Lahaina: Places, People & Culture” 책을 출간해 화재로 잃은 라하이나의 역사를 기록하고, 수익금을 피해자 지원에 사용합니다.
- 교육과 직업 훈련: 하와이 대학교 마우이 칼리지는 무료 목공 훈련을 제공해 라하이나 주민들에게 재건용 창고 제작 기술을 가르칩니다.
- 녹지 복원: 카호마 빌리지(Kahoma Village)에서 100종의 토종 식물을 심는 행사를 통해 화재 후 생태 복원을 추진했습니다.
3.3. 화재 예방 강화
2023년 화재는 통신 실패, 피난 경로 부족, 경고 시스템 오류로 피해가 커졌습니다. 이에 따라 마우이 카운티는 2025년 위험 완화 계획(Hazard Mitigation Plan) 초안을 공개하며, 4월 23일~5월 8일 공공 의견을 수렴합니다. 하와이안 일렉트릭은 5월 3일 라하이나 중급학교에서 비상 대비 오픈 하우스를 열어 주민들에게 화재 대비 교육을 제공합니다.
4. 라하이나 주민들의 삶
라하이나 주민들은 여전히 정서적·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습니다. 화재로 직장을 잃은 이들은 관광 산업 회복이 더딜수록 생계 위협을 느낍니다. 예를 들어, 레스토랑을 잃은 한 주민은 키헤이(Kihei)에서 새 사업을 시작하려 하지만 허가 지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많은 이들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겪으며, 하와이 CARES(전화 988)와 같은 정신 건강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희망도 보입니다. 올드 라하이나 루아우(Old Lahaina Luau -https://oldlahainaluau.com )는 화재 지역 바로 외곽에서 운영을 재개하며, 관광객들에게 하와이 문화를 소개하고 주민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합니다. 커뮤니티는 마우이 스트롱(Maui Strong) 캠페인을 통해 단결하며, 자원봉사와 기부로 서로를 돕고 있습니다.
5. 방문객이 알아야 할 점
2025년 5월, 라하이나는 관광객에게 부분 개방된 상태입니다. 화재 지역은 여전히 출입 제한 구역으로, 프런트 스트리트와 주요 피해지는 접근이 통제됩니다. 그러나 카아나팔리(Kaanapali), 나필리(Napili), 카팔루아(Kapalua) 등 인근 지역은 정상 운영 중이며, 라하이나 게이트웨이 몰과 같은 상업 시설도 문을 열었습니다.
방문객을 위한 팁
- 볼런투어리즘(Voluntourism): 마우이 컬처럴 랜드(Maui Cultural Lands)에서 매주 토요일 토종 식물 심기 자원봉사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예의 바른 관광: 피해 지역 사진 촬영이나 주민들에게 화재 관련 민감한 질문을 피하세요.
- 로컬 지원: 로컬 레스토랑(예: Star Noodle)이나 상점에서 소비하며 지역 경제를 돕습니다.
- 안전 유의: 5월은 건조한 날씨가 이어질 수 있으니 화재 경보를 확인하세요. Genasys Protect 앱 다운로드 추천.
관광 현황
마우이의 관광은 화재 전 대비 25% 감소했으며, 호텔 평균 숙박비는 1박 50만 원 이상으로 상승했습니다. 그러나 마우이의 98%는 화재 피해가 없어, 와이키키 비치, 할레아칼라 국립공원, 하나 하이웨이 등은 여전히 인기 명소입니다.
라하이나 타운의 역사적 의미: 하와이의 심장과 문화 중심지
라하이나(Lahaina)는 하와이 마우이 섬 서부에 위치한 작은 해안 마을로, 하와이의 역사, 문화, 정치 중심지로서 깊은 의미를 지닌다. 2023년 8월의 대규모 산불로 큰 피해를 입었지만, 라하이나는 여전히 하와이 원주민과 방문객들에게 중요한 상징적 장소로 남아 있다.
1. 라하이나의 기원: 하와이 왕국의 심장
라하이나는 하와이 원주민(카나카 마올리)에게 **레레(Lele)**로 불리며, “태양의 땅”이라는 뜻을 지닌다. 이곳은 풍부한 자연 자원과 온화한 기후 덕분에 고대부터 중요한 정착지였다. 라하이나의 역사적 의미는 하와이 왕국 시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특히 19세기 초부터 왕국의 정치와 문화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 카메하메하 1세와 왕국의 시작: 1802년, 카메하메하 1세는 하와이 제도를 통일한 후 라하이나를 왕국의 수도로 삼았다(1802~1820). 그의 통치 아래 라하이나는 정치적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왕실 가족과 고위 귀족들이 거주했다. 카메하메하의 저택과 왕실 묘지는 오늘날에도 라하이나의 역사적 유산으로 남아 있다.
- 왕국의 수도로서의 전성기: 1820년대까지 라하이나는 하와이 왕국의 행정 중심지로, 외국 사절단과 상인들이 방문하는 국제적 항구였다. 카메하메하 2세와 3세 시기에는 왕실의 주요 의식이 이곳에서 열렸다.
2. 19세기: 포경 산업과 선교사의 등장
19세기 중반, 라하이나는 포경 산업의 중심지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 시기는 라하이나의 경제적, 문화적 전환점이었다.
2.1. 포경(고래잡이) 산업의 메카
- 포경선의 집결지: 1820~1860년대, 라하이나는 북태평양 포경 산업의 주요 기항지였다. 매년 400척 이상의 포경선이 라하이나 항구에 정박하며, 고래기름과 고래뼈를 거래했다. 이로 인해 라하이나는 태평양의 포경 수도로 불렸다.
- 프런트 스트리트의 번영: 포경 산업의 호황으로 프런트 스트리트(Front Street)는 상점, 술집, 숙소로 붐볐다. 이 시기의 유산은 피오니어 인(Pioneer Inn, 1901년 설립)과 같은 역사적 건물로 남아 있었다(2023년 화재로 소실).
- 문화적 융합: 포경선 선원들은 유럽, 미국, 아시아 출신으로, 라하이나는 다문화 교류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러나 이로 인해 하와이 원주민의 전통 문화는 외부 영향에 점차 변화를 겪었다.
2.2. 선교사와 기독교의 유입
- 미국 선교사의 정착: 1823년, 미국 선교사들이 라하이나에 도착해 기독교를 전파했다. 이들은 라하이나루나 학교(Lahainaluna School, 1831년 설립)를 세워 하와이 최초의 고등 교육 기관을 만들었다. 이 학교는 하와이 언어로 된 최초의 신문과 책을 인쇄하며 하와이 문화를 기록했다.
- 교회 건설: 와이올라 교회(Waiola Church, 1832년 설립)와 마리아 라나킬라 가톨릭 교회(Maria Lanakila Catholic Church)는 선교사들의 종교적 영향을 보여준다. 특히 와이올라 교회는 왕실 가족의 예배 장소로 사용되었다.
- 문화적 갈등: 선교사들은 하와이 전통 춤인 훌라(Hula)와 같은 문화를 금지하려 했고, 이는 원주민과 선교사 간 긴장을 초래했다. 그러나 하와이 왕실은 훌라를 보존하며 문화적 정체성을 지켰다.
3. 라하이나의 문화적 상징성
라하이나는 하와이 원주민의 문화와 역사를 보존하는 상징적 장소로, 다양한 유산이 이를 증명한다.
3.1. 반얀트리: 라하이나의 심장
- 역사적 상징: 1873년, 와이올라 교회 50주년을 기념해 심어진 라하이나 반얀트리(Lahaina Banyan Tree)는 세계에서 가장 큰 반얀트리 중 하나다. 이 나무는 라하이나의 중심 광장에 위치하며, 지역 주민과 관광객이 모이는 커뮤니티의 상징이다. 2023년 화재로 일부 가지가 손상되었지만, 뿌리와 주요 줄기는 살아남아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이다.
- 문화 행사: 반얀트리 아래에서는 훌라 공연, 로컬 마켓, 축제가 열려 하와이 문화를 체험할 수 있었다.
3.2. 왕실 유산
- 카메하메하 3세의 여름 궁전: 라하이나는 카메하메하 3세가 여름을 보낸 장소로, 왕실의 휴양지였다. 이곳에서 왕은 원주민과 외국인을 만나 하와이의 외교를 이끌었다.
- 모쿠울라 섬(Moku‘ula): 라하이나 항구 근처의 신성한 섬으로, 하와이 왕실의 영적 중심지였다. 현재 복원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2025년 5월 기준 모쿠울라의 문화적 가치를 알리는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3.3. 훌라와 하와이 문화
- 라하이나는 훌라의 부흥지로, 올드 라하이나 루아우(Old Lahaina Luau)와 같은 공연이 하와이 전통 문화를 보존해 왔다. 화재 이후 루아우는 임시 장소로 이전했지만, 여전히 하와이 원주민의 이야기를 전한다.
- 라하이나 복원 재단(Lahaina Restoration Foundation)은 볼드윈 하우스(Baldwin House)와 같은 역사적 건물을 관리하며 하와이 역사를 후대에 전한다(일부 건물은 화재로 소실).
라하이나의 미래를 응원하며
2025년 5월의 라하이나는 회복의 길목에 서 있습니다. 데브리 제거는 완료되었지만, 느린 재건과 주거 위기는 주민들에게 큰 부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우이 카운티와 주민들은 마우이 스트롱 (Maui Strong!)정신으로 단결하며, 문화 보존과 화재 예방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방문객이라면 로컬 커뮤니티를 지원하고, 라하이나의 아픔을 존중하며 여행을 즐길 수 있습니다. 라하이나의 반얀트리가 다시 푸른 잎을 피우듯, 이 마을도 언젠가 활기찬 모습으로 돌아올 거라 믿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함께 라하이나의 회복을 응원합시다! Aloha!
'하와이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우이 파이아에서 맛보는 최고의 피자, 플랫브레드 컴퍼니 (15) | 2025.05.15 |
---|---|
마우이 업컨트리에서의 특별한 휴식, 쿨라 로지(Kula Lodge) (3) | 2025.05.14 |
마우이 커피농장 체험기 (3) | 2025.05.13 |
마우이 바나나빵: 하와이의 달콤한 명물 (3) | 2025.05.11 |
하와이언 항공과 알래스카 항공의 대통합: 왜, 그리고 마일리지는 어떻게 될까? (4) | 2025.05.10 |